▲ JTBC 캡쳐
[김승혜 기자]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는 박근혜 정권 ‘인사 참극’의 시발점인 ‘윤창중 스캔들’의 전말을 최초 공개한다고 9일 예고했다.

윤 씨는 2013년 5월, 박 전 대통령의 첫 방미 때 여성 인턴을 성추행한 혐의로 경질됐다. 당시 워싱턴 경찰 문서에 '그랩(GRAP? 움켜쥐다)'이란 단어가 포함되며 파문이 일었다. 박근혜 정권 '인사 참극' 1호로 꼽히는 사건이다.

이번 방송에서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의 당사자가 방송을 통해 심경을 밝힌다. 그는 여전히 트라우마로 심리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자는 몇 달 간의 노력 끝에 여성 인턴 A씨를 만났다. 사건 4년 만이다. 언론을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당시 A씨는 워싱턴 모 대학원에 재학 중인 인재였다. 졸업하고 번듯한 직장에 취업했지만, '트라우마' 탓에 아직도 심리 치료를 받고 있다 한다.

양측의 주장을 워싱턴 현지에서 검증해봤다. 그러던 중 윤 씨의 '결백' 주장에 큰 허점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 내용은 오늘 방송에서 자세히 소개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성추행보다 더욱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 청와대, 사건 축소하려 미국에 '적용 혐의' 로비?

▲ JTBC 캡쳐
문제는 이 사건이 단순한 '개인 일탈'이 아니란 점이다. 취재진은 미국 현지에서 다량의 '비밀 문건'을 입수했다. 국회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청와대와 외교부가 작성한 공식 문건들로 확인됐다. 문건들은 '윤창중 스캔들'에 감춰진 진실을 담고 있었다. 최순실 게이트를 통해 드러난 '은폐' 코드는 첫 인사 참극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청와대는 사건 관계자들을 전수 조사했다. 그리고 "윤 씨의 성추행은 사실"이라 결론졌다. 대통령은 "책임을 엄중히 묻고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경질만 했을 뿐, 고발 등의 후속 조치는 없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당시 청와대가 미국 정부를 상대로 일종의 '형량 로비'를 한 의혹도 있다는 것. 즉, 한미 범죄인인도협약의 대상이 아닌 '경범죄'를 유지하려 노력한 정황이 발견됐다. 이를 위해 "청와대가 주미대사관을 통해 미 국무부 등에 로비를 펼쳤다"는 전 청와대 관계자의 증언도 나왔다. 첫 방미 성과를 망치지 않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실제로 주미대사관이 2013년 5월 10일 작성한 비공개 문건에는 "미 국무부 관계자들을 만났고,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문건의 존재 여부를 묻는 기자의 질의에 외교부는 "귀 사가 우리부에 문의한 문서 2건은 대외적으로 공개할 수 없는 직무상 비밀로 취급되고 있으므로 확인해줄 서 없다"고 답했다.

그런데 현재 이 문건들이 기록으로 남았지는 불투명하다. 문건 마지막 장에 나와 있듯이, 주미대사관은 2013년 12월 31일 비공개 문건을 일반 문건으로 재분류하고 보존기간을 1년으로 설정했다. 국회 황희 의원실을 통해 확인한 결과, 외교부는 '윤창중 관련 문건'들을 임의 폐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에게 공개해야 하는 일반 문건으로 슬그머니 바꾸고, 없앤 뒤 이제 와서 '직무상 비밀'이란 사유를 댄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