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영 기자]후임 금감원장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하나은행 채용비리 의혹에 연루된 최흥식 전 금융감독원장에 이어 김기식 원장마저 선거법 위반으로 사퇴한 상황이다.

불과 한 달 사이에 이들 두사람이 낙마하면서 차기 금감원장을 둘러싼 인선 방정식이 더 꼬인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해당 분야 관료 출신을 임명하는 것을 '논란을 피하는 무난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과감한 외부 발탁으로 충격을 줘야 한다는 욕심이 생기지만 과감한 선택일수록 비판과 저항이 두렵다"고도 했다. 비관료 출신을 원하지만 모험에 들어가는 기회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문 대통령의 차기 금감원장 선택은 어떨까

금융권에서는 김 원장만큼 개혁적인 민간 인사가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금융 적폐 청산’에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어 이번에도 파격 인사를 단행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재인 정부가 금융감독에 익숙한 관료 출신을 제쳐놓고 이들을 선택한 것은 금융 분야에서 파격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관료 출신이 성장해온 기존의 프레임으로는 금융 개혁을 달성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민간 출신으로 주목받았던 최 전 원장과 김 원장이 잇달아 불미스런 일로 사퇴한 만큼 관료 출신이 오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후보 검증에만 3~4주가 소요되기 때문에 차기 금감원장 선임까지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 전 원장에 이어 김 원장마저 과거 부적절한 전력이 드러나 물러난 이상 철저한 검증이 진행될 수 있어 두 달 이상 걸릴 수 있다는 예측도 제기되고 있다.

또 유 수석부원장 체제를 당분간 유지하고 금감원장 인선을 아예 늦게 결정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특히 6월 지방선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인사를 단행하면 더 큰 후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 남아있는(?) 비관료 출신 금감원장 후보군으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인물은 윤석헌 금융행정혁신위원장(서울대 경영학과 객원교수)과 심인숙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거론된다.

관료 출신은 김주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행정고시 25회), 윤종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표부 대사(27회), 정은보 전 금융위 부위원장과 고승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이상 28회), 유광열(29회) 금감원 수석부원장,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30회) 등이 물망에 올라 있다.

다만 이들 모두 다소 ‘무난한 인사’라는 평을 듣고 있는 만큼 문 대통령이 추구하는 ‘금융 개혁’에 얼마나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