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후 녹지생태도심 재창조전략 현장 기자설명회를 진행하고 서울 중구 청계천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5구역 일대에서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신소희 기자] 서울시가 종묘와 퇴계로 일대를 재정비해 '녹지생태도심'으로 바꾸는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번 정비사업은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재개발에 방점이 찍혀있다. 시는 지난 10년 간 개발되지 않고 방치돼 서울 도심에서 가장 낙후한 세운지구에서 우선 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종묘에서 퇴계로까지 이어지는 44만㎡을 재개발해 마포구 연남동 '연트럴파크(3만4200㎡)'의 4배가 넘는 약 14만㎡의 공원녹지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서울 종로구 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찾아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고밀·복합 개발이 가능한 신규정비구역에 대해 높이제한(90m 이하)과 용적률(600% 이하) 등 기존 건축규제를 과감히 풀어 민간 재개발을 집중 추진하고, 그 대가로 얻는 공공기여로 공원과 녹지를 조성한다는게 핵심 내용이다. 이를 통해 서울 도심의 녹지율을 15%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녹지생태도심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으로 서울 도심을 3개 구역으로 구분했다. 재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낙후·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신규정비구역', 재개발이 끝난 '기시행 정비구역' 한옥밀집지역과 인사동·명동 등 '특성관리구역' 등 각 특성에 따라 녹지공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신규정비구역은 세운지구(종묘~퇴계로 일대)가 대표적이다. 세운지구는 오 시장이 과거 재임 시절인 2006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한 이른바 '오세훈표 시범지구'다. 오 시장은 2009년에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주변 8개 구역을 통합 개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한 이후 2014년 세운지구 개발계획을 취소하고, 도시재생 중심으로 재정비촉진계획을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세운지구는 171개 구역으로 쪼개졌다. 이중 사업이 추진되지 않은 147개 지역은 '도시·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일몰제 적용으로 정비구역 해제에 직면해있는 상황이다. 세운지구에는 30년이 넘은 노후 건축물 비율이 94%에 달하고, 화재에 취약한 목조 건축물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두고 오 시장은 "세운지구를 보면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다", "세운상가 위에 올라 종로2가부터 동대문까지 내려다보면서 분노의 눈물을 흘렸다"며 여러차례 아쉬움을 토로한 바 있다.
 
시는 이번 정비사업을 추진하면서 147개 구역을 20개 내외의 정비구역으로 묶어 개발하는 '통합형 정비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향후 구역 규모를 키울 수 있도록 구역 간 통합도 유연하게 허용한다. 블록별로 공원을 조성하고 건물별로 조성하던 오픈스페이스는 공원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건물 저층부에 공유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건폐율을 축소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높이를 완화하는 방법도 추진한다.
 
오 시장은 "171개로 나뉘어진 개개의 필지를 모아 개발하면 모아타운과 비슷할 것"이라며 "여기에 빌딩을 올릴 때 높이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더 준다고 하면 기존 600%를 1000%까지 못 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부동산 회사가 일정한 상가를 매입하는 조건으로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면, 서울시 비용을 들이지 않고 통합개발해 녹지를 조성할 수 있다는게 전략의 요체"라고 강조했다. 세운지구 선도사업이 완료되면 북악산에서 종묘,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녹지축이 생기게 된다.
 
다만 세운지구 재개발로 박 전 시장 시절 건립이 추진된 공중보행로 철거는 불가피해졌다. 공중보행로 건설 사업은 세운상가부터 진양상가까지 7개 건물을 보행로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규모만 1,000억 원에 달한다. 
 
오 시장은 "계획을 실현하려면 1,000억 원 가까이 들어간 공중보행로가 대못이 될 수 밖에 없고 대못을 뽑아야 한다"며 "다행인 것은 바로 허물지 않아도 된다. 세운상가를 허물려면 블록별 통째로 매입이 완료돼야 하고, 영업하는 임차인과 소비자들이 퇴거해야 허물 수 있는데 그런 것들이 준비되려면 적어도 10년은 걸릴 것이다. 그러면 10년 정도는 공중보행로를 쓰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바탕으로 올 하반기까지 공론화·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상위계획인 '서울 도심 기본계획'과 '도시·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구역별 정비사업은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이제껏 서울 어느 곳에서도 시도된 적 없는 녹지생태도심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보존과 규제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원도심을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미래도심으로 재창조해 시민 여러분께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